글: 단전강(段戰江)
중국 초기의 성지(城池)는 절대다수가 토축(土築), 즉 흙으로 쌓은 것이었다. 명나라 이후, 각지의 성벽은 비로소 대규모로 벽돌이 사용되기 시작한다. 그러므로, 중국고대역사의 절대다수의 시간동안, 성지는 누런 모양이었다. 일찌기 3천년전인 은상(殷商) 시대에, 우리의 선조들은 이미 판축(版築) 기술을 알았다. 소위 '판축'이라는 것은 축성때 두 개의 나무판을 이용하여 두개의 판 사이의 너비가 성벽의 두께가 되는 것이다. 판의 바깥은 나무기둥으로 지탱한다. 그리고 두개의 판 사이에 진흙을 가득 넣어서, 저(杵, 공이)로 진흙을 찧는다. 끝나고 나면 목판,목주를 떼어내면 성벽이 되는 것이다.
춘추시대에 접어들면서, 판축의 기술은 크게 올라간다. 보편적으로 채용된 것은 현판항축법(懸板夯築法)이다. 즉 목곤(木棍)을 양측의 협판(夾板)을 통과하도록 하고, 밧줄로 고정시켜 똑바르게 한 후 중간에 흙을 메워서 다진다. <시경>에 나오는 "기승칙직(其繩則直), 축판이재(縮版以載)"에서 말하는 것이 바로 이런 방법이다. 이런 판축기술로 축성한 성벽은 이전보다 훨씬 튼튼했다. 그러므로, 예전에 양측에 두던 호성파(護城坡)를 없앨 수 있었다. 이를 통하여 성벽을 기어오르는데 훨씬 난이도가 높게 되었다. 당시에 어떤 성벽은 흙덩이(개개의 흙덩이의 크기는 1미터X40센티미터X20센티미터임)를 쌓아서 만들기도 했는데, 아래 위를 서로 교차하게 하여 쌓아서, 성벽의 밀도와 강도를 높이기도 했다.
춘추시대 이래로, 중국의 성지는 이런 소박한 토축방법을 사용해왔다. 근 2천년이 흐른 후, 그 이름도 유명한 원대도(북경)의 성벽은 여전히 항토로 축성했다. 이런 토축의 성벽은 보기에는 그다지 좋지 않고, 그다지 튼튼하지도 않다. 특히 비가 내리면 빗물에 침식되어 손괴될 수 있다. 당연히 예외도 있다. 예를 들어, 동진 십육국시대에 하(夏)나라 혁련발발 대선우(407-425년 재위)가 만든 통만성은 토축사상의 기적이다. 통만성이 채용한 것은 '증토축성'법이다. 즉, 찹쌀즙, 백분토, 모래와 숙석회를 섞어서 다져 쌓은 것이다. 비록 토성이지만, 돌과 같은 단단한 재질과 강도를 갖추었다. 전설에 따르면, 시공을 책임진 질간아리(叱干阿利) 대장군은 아주 엄격한 기준으로 요구해서, 잔혹할 정도였다. 만들고 난 성벽에 사람을 시켜 철추로 검사했다. 철추가 1촌이 들어가면, 즉시 그 장인을 죽여버려, 시신을 성벽 안에 넣었다. 이런 미친듯한 고압적인 정책하에, 6년에 걸친 시공을 거쳐 완성된 통만성의 건축품질이 아주 뛰어났다. "그 날카로움은 칼과 도끼를 갈 수 있을 정도이다." 현대의 콘크리트와도 비교할 수 있을 정도이다.
---------------------------------------------------------------
삼국지 때 콘스탄티노플같은 우리 상상 속의 그런 석조 거성은 존재치 않았고 대부분 흙을 메워 만들던 토성
한위 낙양, 장안성도 토성이고 손오 석두성 정도가 석조성으로 이름 남겨짐
요런 멋~있고 웅장한 석성은 대부분 짱깨들이 근대 들어서 멋있는 명,청대 방식으로 재건해 놓은 것
댓글 작성 (0/1000) 비밀글 (체크하시면 운영자와 글 작성자만 볼 수 있습니다)